엑셀(Excel)에 대해 조금씩 포스팅을 남기다 보니 전세 및 월세 적정가를 알아보는 표를 좀 만들어 달라고 해서 한번 만들어봤는데 사실 이 부분은 조금만 검색해 보면 찾을 수 있다.
가령, 네이버에서 '전월세전환율'이라고 검색하면 전월세 전환 계산기가 바로 나온다.
심지어 임대료 인상률까지 감안해서 계산되어 지니 매우 유용하다.
하지만 인터넷을 검색해서 찾아 사용하기 불편하거나, 인터넷이 되든 안 되든 열어서 확인해 보고 싶을 때는 엑셀만 한 것도 없는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우선 전월세 적정가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다.
프로그래밍도 마찬가지지만 무엇인가를 만들 때에는 만들고자 하는 영역에 대해 먼저 알아야 한다.
전세가율
전세가율이란? 주택 매매가격 대비 전세 가격의 비율을 말한다.
예를 들어 매매가 1억에 전세 7천만 원인 경우는 전세가율 70%가 된다.
KOSIS 국가통계포털 자료에 따르면 24년 2월 기준 수도권 아파트 전세가격 비율이 61.1%라고 한다.
통상적으로 전세가율의 적정 수준은 60~70%이며, 80% 이상이라면 깡통전세라고 해서 위험성이 있다. 알아보는 아파트에 융자가 있다면, 융자와 전세보증금을 합한 금액이 매매가의 80%를 넘으면 깡통 전세다. 두말할 것도 없이 피해야 한다.
전세가율의 적정 수준이 60~70%라고 하니 80%도 높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전세를 구할 때 매매 가격을 꼭 체크할 필요가 있다.
전월세전환율
전월세전환율이란? 전세보증금을 월세로 바꿀 때 적용하는 비율을 말하는데, 전세를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하는 보증금 당 월세의 비율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전세에서 월세로 전환할 때 그 비율은 당사자 간의 합의 사항이기도 하지만, 민생 주거안정을 위해 주택임대차보호법에서는 전월세 전환율 상한선을 명시하고 있다고 한다.
주택임대차보호법 제7조의 2와 주택임대차보호법 시행령 제9조에 따라 간략히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 「은행법」에 따른 은행에서 적용하는 대출금리와 해당 지역의 경제 여건 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비율 = 10%?
- 한국은행에서 공시한 기준금리(24년 2월 기준 3.5%) +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이율 (2%) = 5.5%
위 둘 중에서 낮은 비율을 따른다.
그래서 보통 법정 전월세전환율은 기준금리 + 2%라고 이해하면 된다.
매물의 전월세전환율을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전월세전환율 = ( (월세 × 12) / (전세금-월세보증금) ) × 100
전세를 월세로 환산할 때
전세를 월세로 돌릴 때 적정 월세는 얼마인지 계산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 월세 = (전세보증금-월세보증금)×전월세전환율/12
예를 들어, 보증금 1억 3천만 원 전세를 보증금 1억의 월세로 전환 시 전월세전환율 5.5%를 적용하면 월 137,500원이 된다.
월세를 전세로 환산할 때
월세를 전세로 돌릴 때 적정한 전세 보증금은 얼마인지 계산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 전세 = 월세보증금 + ((월세*12개월)/전월세전환율)
위와 같은 공식으로 예를 들어, 보증금 2억, 월세 55만 원이라면 전세 전환 시 약 3억 2,000만 원 정도가 된다.
전세 vs 월세
전세가 나은지 월세가 나은지 따져보는 단순한 방법 중에 하나가 전월세전환율로 비교하는 것이다.
- 전세대출 금리 > 전월세전환율 = 월세 유리
- 전세대출 금리 < 전월세전환율 = 전세 유리
예를 들어, A 지역의 평균 전세가 2억 원이고, 월세는 보증금 3천만 원 기준 70만 원 정도라면
(70만원*12)/(2억원-3천만원)*100=4.94%가 되는데, 월세 환산 시 법정 전월세전환율보다 낮은 곳이면 나쁘지 않다는 얘기가 된다.
위와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엑셀 시트를 작성해 보면 다음과 같이 할 수 있겠다.
입력이라고 되어 있는 부분만 입력하면 원하는 결과는 자동 계산되니 편하다. ㅎㅎ
예제 파일을 참고로 첨부하니 참고하기 바란다.
- 끝 -
'컴퓨터해보니 > 오피스(Offi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셀] 파일에 엑세스할 수 없습니다. (파일 저장 오류시 확인 방법) (0) | 2024.11.10 |
---|---|
[엑셀] 자동 계산 셀과 입력하는 셀을 구분하기 (0) | 2024.11.09 |
[엑셀] 기본 날짜 표시 형식 변경하기 - 윈도우 환경 (1) | 2024.04.11 |
[엑셀] 원하는 방식으로 날짜 형식 지정 - 날짜 서식 코드, 기본 날짜 형식, 현재 날짜 입력 (0) | 2024.04.11 |
[엑셀] 데이터 유효성 검사 - 중복 데이터 입력 제한하기 (2) | 2024.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