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해보니 87

XAMPP 기반에 무들(Moodle) 설치하기 - Apache, PHP, MySQL 설정 등

지난번에는 무들(Moodle)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윈도우용 패키지를 다운로드해 설치해 보았다.  무료 오픈소스 학습 관리 시스템(LMS) - moodle (무들) 설치하기학습 관리 시스템(LMS, Learning Management System)은 온라인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계획, 제공 및 추적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다. LMS와 관련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오픈소스가 Moodle(무wishlan.tistory.com이번에는 XAMPP 기반에서 무들(Moodle)을 설치해 보고자 한다. 윈도우 환경에서 테스트로 확인해 볼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해 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1. XAMPP 다운로드 및 설치 윈도우 버전의 XAMPP를 다운로드해 설치한다. XAMPP 다운로드 페이지 : http..

코딩해보니/PHP 2025.01.22

무료 오픈소스 학습 관리 시스템(LMS) - moodle (무들) 설치하기

학습 관리 시스템(LMS, Learning Management System)은 온라인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계획, 제공 및 추적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다. LMS와 관련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오픈소스가 Moodle(무들)인데, Moodle은 무료라고 하기에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심지어 모바일 앱도 제공한다.  한번 파헤쳐 보기 위해 윈도우 환경에서 XAMPP를 설치하고 이를 기반으로 Moodle을 설치해 본다.1. Moodle(무들)이란? Moodle(무들)은 오픈소스로 제공되는 학습 관리 시스템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무료 사용 가능: 오픈소스 라이선스(GPL)로 제공. 이게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다. 확장성: 다양한 플러그인과 테마 지원 학습 도구: 퀴즈, 과제..

코딩해보니/PHP 2024.12.31

HTML의 기본 구조 (HTML 요소, 속성)

여기서는 웹 페이지가 어떻게 구성되고 작동하는지 이해하는 데 필요한 정도만 다룬다. HTML을 배우고 익히려면 서적들도 많이 나와 있고, 이와 관련한 정보는 인터넷상에 아주 많이 있으므로 크게 어려움 없을 것이다.​  본 포스팅은 다음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HTML 페이지 구조 HTML 요소(Element) HTML 속성(Attribute)HTML 페이지 구조 HTML은 브라우저에게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언어이다. 그리고, 아래 포스팅에서 간단한 HTML을 메모장에 작성해 브라우저로 열어 확인해 봤다.  HTML 이란? (프런트엔드 개발 로드맵, HTML 정의 등)본 포스팅은 다음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Front-end (프런트엔드) 개발 로드맵 HTML 이란? HTML 작성 방법..

HTML 이란? (프런트엔드 개발 로드맵, HTML 정의 등)

본 포스팅은 다음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Front-end (프런트엔드) 개발 로드맵 HTML 이란? HTML 작성 방법개발자라고 하면 직무별로 다양한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그중에서 웹 개발에 대한 이야기이며, 웹 개발은 다시 크게 프런트엔드(Front-end)와 백엔드( Back-end)로 나누는 게 일반적이다. 물론, 프런트엔드와 백엔드 모두를 아우르는 개발자도 많다. 하지만 어느 정도 체계가 잡혀 있는 조직에서는 이 둘을 나누는 것이 일반적이다.Front-end (프런트엔드) 개발 로드맵아래 이미지는 Front-end 개발자가 쌓아가야 할 기술 스킬에 대한 로드맵을 나타낸다.① Internet 인터넷과 관련한 내용은 프런트엔드나 백엔드나 공통적으로 제일 먼저 알아야 하는 사항으로 앞서 포스팅에..

호스팅(Hosting) 이란? (웹 호스팅, 서버 호스팅 등)

인터넷에서 웹사이트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서버 공간과 네트워크가 필요하다. 하지만 이를 직접 준비하는 것은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호스팅 서비스를 이용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호스팅(Hosting)이 무엇인지, 그리고 웹 호스팅, 서버 호스팅의 차이를 중심으로 알아본다.호스팅(Hosting) 이란? 호스팅(Hosting)에 대한 정의를 나무위키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리하고 있다.호스팅이란 서버 컴퓨터의 전체 또는 일정 공간을 이용할 수 있도록 임대해 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나무위키(https://namu.wiki/w/호스팅)아래 포스팅에서 인터넷과 웹의 동작 방식을 이야기했다.  인터넷과 웹의 동작 방식 (인터넷은 어떻게 구성되고 웹은 어떻게 동작하는가?)인터넷과 웹의 동작 방식..

URI vs URL vs URN: 개념과 차이점 정리

지금까지 인터넷과 웹의 동작 방식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많은 용어들을 알게 되었다. 웹(Web)은 클라이언트(예:브라우저)가 HTTP 혹은 HTTPS로 서버에게 요청(Request)을 하고, 요청을 받은 서버는 응답(Response)을 하는 방식의 통신이다.  HTTP(S)로 요청은 웹에서는 일반적으로 URL을 이용하게 된다. URL은 우리말로 하면 흔히 '인터넷 주소'라고 하는데 도메인(Domain)과 함께 구성된다. 그럼, 도메인과 URL은 같은 것인가? 아니다. 도메인은 URL을 구성하는 요소 중에 반드시 필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URL과 함께 따라 나오는 용어가 URI다.이렇듯 웹 개발이나 IT 관련 공부를 하다 보면 한 번쯤 들어봤을 URI, URL, URN. 이 세 용어는 때로 혼란스럽게 사..

도메인 네임과 DNS (Domain Name & Domain Name System)

웹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이해하는 과정에서 IP(Internet Protocol)라는 것을 알았다. IP는 인터넷상에서 컴퓨터가 가지는 고유한 주소라고 이해했고, https://wishlan.tistory.com이라고 브라우저에 입력하면 DNS에 IP 주소를 물어보고 찾아간다고 했다. 이 과정을 도메인과 DNS를 통해 조금 더 이야기해보고자 한다.도메인 네임(Domain Name)이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장치(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서버, 자동차, 냉장고 등등)들은 고유한 주소를 가진다고 했는데 그 주소가 IP(Internet Protocol)이다. 그런데, IP는 숫자로 되어 있어서 전화번호도 외우는 게 쉽지 않은데 그 수많은 IP들을 어떻게 기억할 수 있겠는가? 그래서 도메인(domain)이..

인터넷과 웹의 동작 방식 (인터넷은 어떻게 구성되고 웹은 어떻게 동작하는가?)

인터넷과 웹의 동작 방식 - 인터넷은 어떻게 구성되고 웹은 어떻게 동작하는가? - 인터넷(Internet)과 웹(Web)을 구분할 정도는 되었고, 웹은 HTTP를 기반으로 한다는 것도 알았다. 이제는 인터넷과 웹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이야기해 보려 한다. 인터넷과 웹이 무엇인지부터 알아야 한다면 아래 포스팅을 먼저 참고해 주기 바란다.  인터넷(Internet)과 웹(Web)개발자가 되기 위해서는 뭐든지 알아두면 어떤 개발을 하든 조금이라도 밑거름이 된다는 사실을 확신했으면 한다. 대학 전공 커리큘럼 중에 C, Java와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도 있었지wishlan.tistory.com인터넷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인터넷은 전 세계 컴퓨터들을 연결하는 통신망이다. 인터넷은 어떻게 보면 컴퓨터와 컴퓨터가 연..

HTTPS란 무엇인가?

웹사이트를 사용할 때 주소창에서 "http://" 또는 "https://"로 시작하는 것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아니 요즘은 거의 모든 웹사이트 주소가 https://로 시작한다. HTTPS는 우리가 인터넷을 더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입니다. HTTPS가 무엇인지, 왜 중요한지 알아보자. HTTP를 이해했으면, HTTPS는 비교적 쉽다. HTTP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 보자.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란 무엇인가?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줄임말이다. 직역을 한번 해볼까요? ㅎㅎ '하이퍼텍스트(Hyptertext)를 교환하기 위한 프..

웹에서 요청(Request)과 응답(Response)는 무엇인가?

HTTP의 요청(Request)과 응답(Response)웹(Web)은 HTTP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HTTP에 대해 이야기를 시작했다. 이에 대한 큰 틀에서의 이야기는 다음의 포스팅을 참고해 주기 바란다.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란 무엇인가?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줄임말이다. 직역을 한번 해볼까요? ㅎㅎ '하이퍼텍스트(Hyptertext)를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규약=약속)' 정도로 해석이 되려나... ㅎㅎ  Hwishlan.tistory.comHTTP는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요청을 하고, 서버는 들어온 요청에 대해 응답을 한다고 했다.요청(Request)이라는 것..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란 무엇인가?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줄임말이다. 직역을 한번 해볼까요? ㅎㅎ '하이퍼텍스트(Hyptertext)를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규약=약속)' 정도로 해석이 되려나... ㅎㅎ  HTTP를 이야기하기 전에 '하이퍼텍스트(Hypertext)'에 대한 이해가 먼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하이퍼텍스트(Hyptertext) 먼저, 하이퍼텍스트(Hyptertext)를 교환한다는데.. 하이퍼텍스트가 뭘까... 네이버 어학사전에는 다음과 같이 얘기하고 있다.영어사전의 뜻이 하이퍼텍스트다. ㅎㅎ 괄호에 부연이 되어 있지만 사전의 내용으로는 잘 이해하기 어렵다.  이미 현업에서 웹 개발을 하는 사람들이라면 hyptertext..

인터넷(Internet)과 웹(Web)

개발자가 되기 위해서는 뭐든지 알아두면 어떤 개발을 하든 조금이라도 밑거름이 된다는 사실을 확신했으면 한다.  대학 전공 커리큘럼 중에 C, Java와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도 있었지만 프로그래밍 언어 외에도 소프트웨어 공학 개론, 알고리즘, 자료구조 그리고 컴퓨터 구조까지 있었던 것으로 생각나는데 당시만 해도 이런 걸 왜 알아야 하나?라는 의문이 많이 들었다.   프로그래밍 서적의 문법을 이해하기 위한 예문들을 아무리 들여다보고 이해를 해가도 프로그래밍 언어 외의 커리큘럼들이 왜 필요한지 이해가 되지 않았다. 하지만 실제 서비스를 구축하고 운영하다 보면 왜 필요한지 그제야 알게 된다.  반대로 알고리즘이나 자료구조와 같은 이론을 모르고 프로그래밍을 하거나 웹 개발을 하는 사람이라면 내가 왜 이 문제를 해..

웹 개발자를 준비하면서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것은?

웹 개발 이야기 - 들어가며 -대학에서 컴퓨터 관련 전공을 졸업하고, 졸업도 하기 전부터 웹 개발 직무를 시작해서  20년이 넘었다.  그동안 여러 회사를 거치며 웹 개발 업무를 해왔고, 현재는 내 사업을 준비하며 웹 개발을 하고 있다. 그럼에도 여전히 웹 개발에 대해 모르는 부분이 많고, 알아야 할 것들이 많다는 걸 느낀다.  대학에서 컴퓨터를 전공하고 있을 때만 해도 내가 웹 개발을 하리라고는 상상도 하지 않았다. 응용프로그램 개발자가 되는 것을 생각했고, 기업 전산실에 근무하는 것을 희망했다. 하지만 사회 첫발을 웹에이전시 창업 멤버로 시작하면서 Linux(리눅스), PHP, MySQL에 관한 책, 그것도 바이블 같은 아주 두꺼운 책 3권을 회사 개업 후 첫 달에 모두 마스터하고 1인 개발로 홈페이..

특강 - Git을 활용한 웹 개발과 실무의 이해

어느 특성화 고등학교 1, 2학년을 대상으로 2일간 총 13시간의 강의를 진행했는데 주요 내용을 남겨 보고자 한다.   특성화 고등학교여서 그런지 웹 개발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이 많았고, 그래서 그런지 사뭇 진지했고, 즐거운 시간이었다. 이런 강의를 준비함에 있어 많이 고려하는 부분은 짧은 시간 동안 무엇을 이야기할 것인지 와 수강을 하는 학생들의 아는 정도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어느 수준으로 해야 할 것인가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흥미를 가지게 하고 즐거운 수업이 되게 하는 것이다. 학교 담당 선생님께서 요청 주신 부분에서 크게 어긋나지 않으면서 내용적으로는 충분히 알차게 하는 것이다.  고등학교에서의 강의는 수업 시간표에 맞춰 50분 수업 10분 휴식으로 진행되고 점심은 급식을 함..

코딩해보니/Git 2024.11.07

XAMPP로 로컬 호스트에서 SSL 인증 설정으로 HTTPS 사용하기(for 윈도우)

윈도우를 사용하는 컴퓨터에 개발 환경을 빠르게 구축해 간단히 작업을 해보고 싶은 경우에 HTTPS 사용까지 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가장 손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이 XAMPP와 같은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운로드해 설치까지 10분 이내로 가능하니 말이다. 그런데, HTTPS를 사용하려면 추가 설정이 필요하다. 그 과정과 방법을 소개한다. 1. XAMPP 설치 당연히 XAMPP를 설치하자. XAMPP는 테스트용 웹 서버 구축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이만한 게 없다. XAMPP는 Apache + MariaDB + PHP + Perl이 포함된 무료 오픈 소스 패키지이다. 아래 공식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하고 설치할 수 있다.  Download XAMPPIncludes..

코딩해보니/PHP 2024.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