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itHub 저장소 확인
앞서 우리는 GitHub에 회원가입을 하고 저장소까지 만들어 봤습니다.
https://github.com 에 다시 접속해 보겠습니다.
GitHub: Let’s build from here
GitHub is where over 100 million developers shape the future of software, together. Contribute to the open source community, manage your Git repositories, review code like a pro, track bugs and fea...
github.com
가입했던 정보로 로그인을 하면 다음과 같이 첫 화면 왼쪽 편에 자신이 만들었던 저장소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장소 목록은 <GitHub계정 아이디> / <저장소 이름> 형식으로 표시되고 있습니다.

제가 테스트로 만들었던 저장소 이름이 firstrepo 였습니다.
해당 저장소를 클릭하면 페이지 상단에 파란색 바탕에 다음과 같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github.com/shiri0/firstrepo.git 이라는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주소가 서버 저장소 주소입니다.
다른 개발자와 함께 작업하고 싶다면 이 주소를 알려주면 됩니다.
그리고 이 주소는 내 PC의 로컬 저장소와 연결할 때에도 사용하게 된다고
이미 우리는 학습을 했습니다.
서버(원격) 저장소 만들기
다시 한번 학습한 내용을 토대로 GitHub에서 저장소를 만들어 보기 바랍니다.
자신의 GitHub에서 오른쪽 맨 상단에 [+]를 클릭해 보면 다음과 같이 메뉴가 펼쳐집니다.

저는 remoterepo라는 이름으로 만들었습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습니다.

로컬 저장소와 서버 저장소 연결하기
GitHub에서도 생성한 저장소와 로컬 저장소를 연결하는 방법을 다음과 같이 안내하고 있습니다.

2가지 방법을 얘기하고 있는데,
한 가지는 새로운 로컬 저장소를 생성하고 서버(원격) 저장소를 연결하는 방법과,
다른 한가지는 이미 사용 중인 로컬 저장소에서 해당 서버(원격) 저장소를 연결하는 방법을 CLI 명령어를 예를 들어 안내하고 있습니다.
2가지 방법을 차례로 실습을 통해 확인해 보겠습니다.
■ 방법 1 - 새로운 로컬 저장소를 생성하고 GitHub의 서버(원격) 저장소를 연결
첫 번째 방법으로 새로운 로컬 저장소를 생성하고 GitHub의 서버(원격) 저장소를 연결해 보겠습니다.
GitHub의 안내 내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위 안내에서는 로컬에 폴더를 만드는 과정은 생략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Git을 초기화하면, 가장 기본이 되는 master라는 이름의 브랜치가 만들어지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위 안내에서는 이 master 브랜치 이름을 main으로 변경하는 과정이 있습니다.
$ git branch -M main 명령이 바로 브랜치 이름을 변경하는 것이며, 굳이 이렇게 하지 않아도 되겠습니다.
그 과정을 함께 실습해 보겠습니다.
로컬 저장소를 생성하는 방법은 이미 여러 차례 해 봤습니다.
저는 remoterepo 폴더로 로컬 저장소를 만들기 위해,
윈도우 탐색기에서 remoterepo 폴더를 만들고,
이 폴더에서 “Git Bash Here” 메뉴를 이용해 “Git Bash”(터미널)를 실행했습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하였습니다.

이제 로컬 저장소를 만들었으니, 소스트리에서도 추가해 확인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master 브랜치에 “first commit” 메시지의 커밋 이력도 정상적으로 확인됩니다.
다음으로 GitHub에서 만들었던 서버(원격) 저장소를 연결하겠습니다.
그 실행 방법은 다음과 같이 안내된 내용으로 해도 되겠습니다.

서버(원격) 저장소를 연결하는 기본 명령 사용법은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서버(원격) 저장소를 연결하기
$ git remote add <name> <URL>
<name> 은 서버(원격) 저장소 <URL>을 가리키는 이름을 지정합니다.
일단 다음과 같이 실행해 서버 저장소를 연결합니다.

서버 저장소를 연결하려면 remote 명령어와 함께 add 옵션을 사용합니다.
서버 저장소 URL인 https://github.com/shiri0/remoterepo.git을 가리키는 이름으로 origin이라고 정했습니다.
다른 하고 싶은 이름으로 지정해도 되겠습니다.
Git을 사용하면서 서버 저장소의 내용을 받아오고,
서버 저장소에 코드를 전송하는 등의 서버 저장소로 작업을 할 때 서버 저장소를 매번 지정하게 됩니다.
이때마다 매번 긴 주소를 사용하면 불편하기 때문에 그 주소를 대신할 간편한 이름을 지정해 사용하게 됩니다.
서버 저장소 연결이 완료되면 아무런 결과 메시지가 없습니다.
연결이 되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등록된 서버 저장소 목록을 확인합니다.
등록된 서버 저장소 목록을 확인하는 명령어는 remote 만 입력하거나,
remote와 함께 -v 옵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등록되어 있는 서버 저장소의 이름을 확인하기
$ git remote
# 등록되어 있는 서버 저장소의 이름과 URL을 확인하기
$ git remote -v
# 서버 저장소의 상세 정보 확인하기
$ git remote show <서버 저장소 이름>
다음과 같이 origin 이라는 이름으로 등록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origin으로 등록되어 있는 서버(원격) 저장소의 상세한 정보를 확인하고 싶다면 show 옵션을 사용해 다음과 같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는 GitHub에 저장소만 만들었기에 어떠한 브랜치도 없고 따라서 HEAD 정보도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등록한 서버(원격) 저장소는 소스트리에서도 다음과 같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왼쪽 사이드 메뉴에 [원격] 메뉴 앞의 화살표를 클릭해 보면 등록된 서버(원격) 저장소를 확인할 수 있으며,
서버(원격) 저장소 origin에 마우스를 가져가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나타나는 팝업 메뉴로 필요한 작업을 실행할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연결한 서버(원격) 저장소에 이제 로컬 저장소의 커밋을 전송하는 것이 GitHub의 안내에 나와 있는 다음의 내용입니다.

우리는 master 브랜치 이름을 main으로 변경하지 않았기 때문에
$ git push -u origin master라고 해야 합니다.
서버로 전송하는 부분은 다시 학습하도록 하겠습니다.
■ 방법 2 - 기존 로컬 저장소에 GitHub의 서버(원격) 저장소를 연결
서버 저장소를 연결하는 두 번째 방법은
기존 로컬 저장소에 서버 저장소를 연결하는 것입니다.
이는 이미 앞서 실습을 했습니다.
새로운 로컬 저장소를 생성하고 GitHub의 서버(원격) 저장소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마지막으로 실행한 것이 다음 명령이었습니다.

기존 로컬 저장소에서 위와 같이 마찬가지로 서버 저장소를 등록하면 되겠습니다.
소스트리(Sourcetree)에서도 이와 같이 서버 저장소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상단 메뉴 중에 [저장소] 메뉴를 클릭하면
나타나는 메뉴에서 맨 처음 있는 [저장소 설정…] 메뉴
또는 아래쪽에 있는 [원격 저장소 추가…] 메뉴를 클릭해서 등록 및 관리할 수 있습니다.
또, 하나는

버튼을 클릭해 추가할 수 있으나, 원래 이 버튼의 기능은 등록된 원격 저장소로 이동하게 됩니다.
빨간색 동그라미 느낌표 딱지가 붙어 있는 것은 등록된 원격 저장소가 없다는 표시입니다.
이런 경우 클릭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안내 창이 나타납니다.

설정되어 있는 원격 저장소가 없으니, [설정] 버튼을 클릭해서 설정하라는 안내입니다.
앞서 [원격 저장소 추가...] 메뉴를 클릭하거나, 위 안내 창에서 [설정] 버튼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창이 나타납니다.

저장소 설정이라는 창이 나타나는데, 아래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추가]를 클릭하면 등록할 원격 저장소 정보를 입력하는 아래와 같은 창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상단에 “필요한 정보” 섹션의 “원격 이름”과 “URL / 경로” 정보를 입력합니다.
“원격 이름”을 origin으로 사용한다면 “디폴트 원격” 체크박스를 클릭해 체크하면 자동으로 “origin”이 입력되고 수정할 수 없게 바뀝니다. 다른 이름으로 수정하려면 체크를 해제해야 합니다.
정보를 입력한 후 아래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다음과 같이 저장소 설정 창으로 돌아가고, 앞서 입력한 원격 저장소 정보가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확인]을 클릭하고 소스트리 왼쪽 사이드의 “원격” 메뉴를 확인해도 등록한 origin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원격 저장소를 등록하면,
앞서 빨간색 동그란 느낌표 딱지가 붙어 있던

메뉴엔 느낌표 딱지가 없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제는 클릭하면 저장소 주소로 브라우저 창을 열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GitHub에서 생성한 서버(원격) 저장소를 만들고,로컬 저장소와 연결하는 과정을 살펴봤습니다.
'코딩해보니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_42] 서버(원격) 저장소 - 전송하기 (git push) (0) | 2023.03.29 |
---|---|
[Git_41] 서버(원격) 저장소 - 정보 삭제하기 (remote rm) (0) | 2023.03.28 |
[Git_39] 서버(원격) 저장소 이해하기 (0) | 2023.03.23 |
[Git_38] 스태시(Stash) - 사용하기 (0) | 2023.03.02 |
[Git_37] 스태시(Stash) - 개념 (0) | 2023.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