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에는 무들(Moodle)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윈도우용 패키지를 다운로드해 설치해 보았다.
무료 오픈소스 학습 관리 시스템(LMS) - moodle (무들) 설치하기
학습 관리 시스템(LMS, Learning Management System)은 온라인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계획, 제공 및 추적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다. LMS와 관련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오픈소스가 Moodle(무
wishlan.tistory.com
이번에는 XAMPP 기반에서 무들(Moodle)을 설치해 보고자 한다.
윈도우 환경에서 테스트로 확인해 볼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해 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1. XAMPP 다운로드 및 설치
윈도우 버전의 XAMPP를 다운로드해 설치한다.
- XAMPP 다운로드 페이지 : https://www.apachefriends.org/download.html
24년 12월 현재 PHP는 8.4.1이 최신 버전이라 가급적이면 가장 최신의 버전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다운로드하고 설치했다.
- 나의 XAMPP 설치 경로 : D:\xampp
설치가 끝나면 일단 정상 유무 확인을 위해 MySQL과 Apache를 [Start] 한다.
먼저, MySQL 접속 확인.
버전은 10.4.32인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로 위와 같이 명령 프롬프트에서 mysql 명령어를 설치 경로가 아닌 위치(C:\Users\...)에서도 사용이 되게 하기 위해서는 윈도우 환경 변수에 Path를 설정해야 한다.
이렇게 확인해도 되고, 아니면 http://localhost로 접속해서 아래 페이지가 확인이 되면 Apache도 정상적으로 구동이 되는 것이고, 상단 메뉴에 PHPInfo를 통해 PHP 버전과 로드된 모듈 등 PHP 설정 정보를 알 수 있다.
그리고 phpMyAdmin 메뉴를 통해 아래와 같은 페이지가 정상적으로 확인이 되면 MySQL도 잘 구동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추가로 PHP 설정과 MySQL 설정이 필요하지만 일단 정상인 것 만 확인한다.
2. 무들(Moodle) 다운로드
무들도 다운로드해 압축을 푼다.
- 무들(Moodle) 다운로드 페이지 : https://download.moodle.org/releases/latest/
for Windows 버전이 있지만, 이번에는 Zip 파일을 받아 직접 세팅을 해보려 한다.
압축을 푸는 데만 약 19분이라니... 내 랩톱이 사양이 떨어지는 것도 아닌데 ㅠ.ㅠ
와~ 시간이 늘었다. ㅎㅎ
3. MySQL 유저 추가 및 DB 생성
무들(Moodle)을 압축 해제하는 동안 MySQL 유저를 추가하고 DB를 만들어 두자.
✔️유저 생성
create user 'wishlan'@'localhost' identified by '비밀번호';
✔️ DB 생성
create database wishlan_db;
✔️ 생성한 DB에 권한 부여
# 권한 부여
grant all privileges on wishlan_db.* to 'wishlan'@'localhost';
# 권한 적용
flush privileges;
: 생성한 wishlan 계정으로 접속 확인
접속이 잘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혹, 유저 생성하고 권한을 부여하는 과정에서 이상하게 오류가 난다면..
다음 명령을 실행해 본 후 재시도 해보자.
오류 예시:
The user specified as a definer ('mariadb.sys'@'localhost') does not exist
mysql_upgrade -u root --force
혹, 아래와 같은 오류가 나고 사용자 추가가 안된다면..
Got error 176 “Read page with wrong checksum” from storage engine Aria
다음과 같이 phpMyAdmin에 접속해서, ① mysql DB를 클릭하면 왼쪽에 나오는 ② 테이블을 전체 선택한 다음 ③ [선택한 것을: ] select를 클릭해서 나오는 메뉴 중에 ④ 테이블 복구를 선택해 실행한 후 다시 시도해 보자.
그리고, 결국 MySQL은 무들 설치를 위해 버전 업을 해야 하므로 새 버전을 설치 후 위 과정을 다시 반복해야 했다. ㅠ.ㅠ
4. 가상 호스트 설정(VirtualHost)
로컬에서 wishlan.com 도메인으로 무들을 세팅해 볼 거라 다음과 같이 아파치 가상 호스트(VirtualHost)를 설정한다.
압축을 푼 무들(moodle)을 D:\xProjects 아래로 옮겨서 세팅할 무들의 경로는 다음과 같다.
- 설치하고자 하는 무들 사이트 경로 : D:/xProjects/wishlan/public
<VirtualHost *:80>
DocumentRoot "D:/xProjects/wishlan/public"
ServerName wishlan.com
ServerAlias www.wishlan.com
<Directory "D:/xProjects/wishlan/public">
Options All
AllowOverride All
Require all granted
</Directory>
</VirtualHost>
<VirtualHost *:443>
DocumentRoot "D:/xProjects/wishlan/public"
ServerName wishlan.com
ServerAlias www.wishlan.com
SSLEngine on
SSLCertificateFile "conf/ssl.crt/server.crt"
SSLCertificateKeyFile "conf/ssl.key/server.key"
<Directory "D:/xProjects/wishlan/public">
Options All
AllowOverride All
Require all granted
</Directory>
</VirtualHost>
SSL 적용을 위해서는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자.
XAMPP로 로컬 호스트에서 SSL 인증 설정으로 HTTPS 사용하기(for 윈도우)
윈도우를 사용하는 컴퓨터에 개발 환경을 빠르게 구축해 간단히 작업을 해보고 싶은 경우에 HTTPS 사용까지 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가장 손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이 XAMPP와 같은 패키
wishlan.tistory.com
5. 무들 설치
Apache를 재시작 후 https://wishlan.com으로 접속하면 다음과 같이 무들 설치를 위한 언어 선택 화면을 볼 수 있다.
한국어(ko)를 선택하고 [다음]으로 넘어가니 바로 오류가 발생한다. ㅎㅎ
Zip PHP 확장이 비활성화되어 있단다.
php.ini에서 zip 활성화하고 다시 로딩한 후 다음으로 넘어간다.
무들은 sodium도 활성화해야 하므로 미리 활성화한다.
php.ini 파일을 편집하는 김에 필요한 설정을 조금 더 한다.
max_input_vars를 5000 이상(무들이 5000 이상이어야 함)으로 설정하고, max_input_time도 넉넉하게 준다.
그리고 DateTime Zone도 Asia/Seoul로 변경해 둔다.
그러고 다음으로 넘어가면
경로를 확인하고 [다음]
데이터베이스를 MariaDB로 변경하고 [다음]
데이터베이스 명칭(DB name)을 앞서 만들었던 wishlan_db로 변경하고, DB 유저를 앞서 생성했던 유저 정보로 비밀번호까지 입력하고 [다음]
약관에 동의하고 [계속]
그럼 설치 환경을 최종 확인한 결과 페이지를 볼 수 있는데.. 에고.. MariaDB 버전부터 안 맞다고 나온다.
이러면 곤란한데.. ㅠ.ㅠ
더불어 gd, intl, sodium도 점검 뜨고, soap, opcache, enable도 점검 뜬다.
빨간색 점검은 반드시 해결해야 할 거 같다.
sodium은 미리 활성화해뒀는데 왜 뜨지?
일단 DB 버전을 제외하고 나머지를 해결해 본다.
gd, intl, soap, sodium, zip, opcache를 일단 모두 활성화.
그리고 MariaDB까지 버전 업을 한다.
XAMPP에서 MariaDB를 업그레이드하는 방법은 생략한다.
내가 업그레이드한 방법을 간단히 언급하면 https://mariadb.org/에서 10.6.20 버전의 윈도우 설치 MSI Package를 다운로드해 XAMPP의 mysql 디렉터리에 설치하는 방법으로 업그레이드했다.
이때 혹시 모르니 이전의 mysql 디렉터리는 mysql_old로 이름을 변경했다.
이제 모든 환경이 충족되었다.
[계속] 버튼을 눌러 진행한다.
모든 필요한 모듈 및 라이브러리가 설치되면 [계속] 버튼을 누른다.
아래와 같이 주 관리자 계정을 설정하는 화면이 나온다.
사용자 아이디를 변경할 수 있고, 비밀번호와 성, 이름, 이메일 주소는 필수 항목이다.
그리고 국가와 시간대를 알맞게 설정하자.
비밀번호는 최소 1개의 대문자가 포함되어야 하고 특수문자도 하나는 포함되어야 한다.
설정 후 [개인정보 수정] 버튼을 눌러 다음으로 진행한다.
아래와 같이 시작 페이지 설정 화면이 나온다.
사이트 정식 명칭을 시작으로 일단 적당히 작성하고 [변경사항 저장]을 눌러 진행한다.
보조 이메일은 필수 항목이다.
모든 과정을 마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다.
지금까지 윈도우 환경에서 무들(Moodle)이라는 오픈소스 LMS를 설치해 보고 테스트해 볼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해 보았다.
- 끝 -
상기 상품 배너는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코딩해보니 > PH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료 오픈소스 학습 관리 시스템(LMS) - moodle (무들) 설치하기 (2) | 2024.12.31 |
---|---|
XAMPP로 로컬 호스트에서 SSL 인증 설정으로 HTTPS 사용하기(for 윈도우) (0) | 2024.10.26 |
라라곤(Laragon)으로 윈도우(Windows)에서 PHP 개발 환경 구성하기(Laravel 가능) (0) | 2024.10.26 |
윈도우(Windows)에서 PHP 개발 환경 구성하는 방법 - XAMPP, AMPPS, EasyPHP, Homestead (0) | 2024.07.12 |
PHP와 MySQL(MariaDB) 연동- 윈도우(Windows) 환경 (1) | 2024.07.12 |
댓글